간자목, 백동백이라고도 불리는 감태나무는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입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키는 5-8m 자라고 굵기는 지름 5-13cm쯤 굵어지며 나무껍질은 매끄럽고 회백색을 띱니다. 추위에도…
구아바는 포도과에 속하는 식물로 옛 잉카인들이 고산지대에서 기르고 즐겨먹었던 열매로 잎, 열매, 나무껍질까지 건강식 및 약용으로 이용하는 식물입니다. 구아바는 높이 3-7m로 가지를 많이 치며, 잎이…
블랙커런트(Blackcurrant)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으로 유럽 북서부가 원산지이며 그늘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도 강합니다. 신맛이 강하고 즙이 많아 유럽에서는 잼, 주스, 젤리 등을 만들어 먹습니다. 블랙커런트는…
작두콩은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써 콩깍지의 생김새가 작두와 닮아서 작두콩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도두라고도 불립니다. 작두콩은 예부터 치질, 축농증, 비염에 좋다고 알려져 있는 음식이며 특히 작두콩 깍지는 월경…
카무카무는 브라질과 페루 일대의 아마존 열대우림에 자생하며 카모카모, 카카리 등으로 불리는 열매입니다. 카무카무는 신맛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생과로 먹기보다는 주로 분말의 형태로 섭취하는데요. 또한 주스나…
루이보스는 콩과 식물에 속하는 침엽수이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북쪽 지역에 있는 샌더버그의 고산지대에서만 자생한다는 특성이 있는데요. 루이보스티는 루이보스잎을 잘게 자른 이후, 발효와 건조의 과정을 통해…
삼백초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습지에서 주로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삼백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과 일본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잎과 꽃이 하얀 것이 특징이라서 삼백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퀴노아는 비름과 명아주속의 작물이며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 고원지역에서 재배되며 고대 잉카문명 시대 이전부터 아마란스와 함께 중요한 식용작물로 재배되어 왔습니다. ‘모든 곡식의 어머니’라는 고대 잉카어에서 유래된…
결명자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데요. 볶은 결명자를 끓는 물에 달여낸 차를 결명자차라고 합니다. 결명자는 ‘눈을 밝게 틔우는 씨앗’이라는 한자 뜻대로 눈을 맑게 해…
방어는 전갱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이며, 다 자란 몸길이가 무려 1m에 육박할 정도의 대형 어류에 속합니다. 11월부터 2월까지가 제철인 방어는 담백하고 깊은 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