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지방 쓰는 방법

최근 들어서 제사를 안 지내는 분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여전히 명절에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사를 일 년에 몇 번 정도 지내다 보니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지방 쓰는 법입니다. 다들 한 번쯤은 지방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고민해보셨을 거 같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지방쓰는법에 대해서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방 양식을 업로드하였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관계에 따른 지방쓰는 방법을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합니다.

관계 한글 한자
증조할아버지 현증조고 顯曾祖考
증조할머니 현증조비 顯曾祖妣
할아버지 현조고 顯祖考
할머니 현조비 顯祖妣
아버지 현고 顯考
어머니 현비 顯妣
남편 현벽 顯壁
부인 망실,고실 亡室,故室
현형 顯兄
형수 현형수 顯兄嫂
동생 망제, 고제 亡帝,故弟
자식 망자, 고자 亡子,故子

맨앞글자는 현(顯) 자를 작성하고 그다음 관계에 따른 표기를 하면 됩니다.

그 다음 고인의 직위를 기록하시면 되는데요.

만약 벼슬을 한 분이 계시다면 벼슬 이름을 붙여주시고, 벼슬이 없는 분들은 남자는 학생(學生)을, 부인은 유인(孺人)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직위 다음으로는 이름을 작성합니다.

남성인 경우 부군(府君)으로 표기하시고, 여성인 경우에는 본과+성씨를 적으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김해 김 씨”로 표기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적게 되면 지방 쓰기 완료되는데요.

완료된 지방을 한번 보시죠.

최근에는 지방을 작성할 때 많은 분들이 한자로 기록하시는데요. 최근들어서는 한자 대신 한글로 작성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글로 적으실 때는 한자의 음을 그대로 따서 “현고 학생부군신위” 적어서 사용해도 무방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지방쓰는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지방 만드는 법

아버님_제사_지방양식.hwp 0.02MB

조부모님_지방양식.hwp 0.01MB

증조부모님_지방양식.hwp0.02MB

 

- - 관련 글 - -
식용유 종류와 발연점

발연점이 지나는 시점부터는 타기 시작하여 벨조필렌이란 발암물질이 생성된다. 식용유의 발연점을 제대로 알고 조리법에 맞는 식용유를 선택하는게 좋다. 1. 콩기름(대두유) 발연점 210℃~220℃ 구이, ...More...

한국인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

1. 병이 나았다 (O)  /  병이 낳았다 (X) 의외로많은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 가운데 하나인 ‘낳았다/나았다’. 아픈 곳이 회복되었다는 표현으로 사용할 때에는 ‘병이 ...More...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되는 팁 ·방법

머리카락이 너무 많이 빠져서 고민인가? 빗을 빗고 나면 머리카락이 수두룩하게 떨어져 있는가? 이런 경우라면 바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탈모 예방에 ...More...

피곤한 발 관리하는 방법

우리 인체에서 가장 홀대받는 부위가 발입니다. 피곤한 발을 관리하는 것은 일상적인 건강 관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요즘 많이 늘어나고 있는 발 ...Mor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