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서 제사를 안 지내는 분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여전히 명절에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사를 일 년에 몇 번 정도 지내다 보니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지방 쓰는 법입니다. 다들 한 번쯤은 지방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고민해보셨을 거 같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지방쓰는법에 대해서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방 양식을 업로드하였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관계에 따른 지방쓰는 방법을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합니다.
관계 | 한글 | 한자 |
증조할아버지 | 현증조고 | 顯曾祖考 |
증조할머니 | 현증조비 | 顯曾祖妣 |
할아버지 | 현조고 | 顯祖考 |
할머니 | 현조비 | 顯祖妣 |
아버지 | 현고 | 顯考 |
어머니 | 현비 | 顯妣 |
남편 | 현벽 | 顯壁 |
부인 | 망실,고실 | 亡室,故室 |
형 | 현형 | 顯兄 |
형수 | 현형수 | 顯兄嫂 |
동생 | 망제, 고제 | 亡帝,故弟 |
자식 | 망자, 고자 | 亡子,故子 |
맨앞글자는 현(顯) 자를 작성하고 그다음 관계에 따른 표기를 하면 됩니다.
그 다음 고인의 직위를 기록하시면 되는데요.
만약 벼슬을 한 분이 계시다면 벼슬 이름을 붙여주시고, 벼슬이 없는 분들은 남자는 학생(學生)을, 부인은 유인(孺人)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직위 다음으로는 이름을 작성합니다.
남성인 경우 부군(府君)으로 표기하시고, 여성인 경우에는 본과+성씨를 적으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김해 김 씨”로 표기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적게 되면 지방 쓰기 완료되는데요.
완료된 지방을 한번 보시죠.
최근에는 지방을 작성할 때 많은 분들이 한자로 기록하시는데요. 최근들어서는 한자 대신 한글로 작성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글로 적으실 때는 한자의 음을 그대로 따서 “현고 학생부군신위” 적어서 사용해도 무방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지방쓰는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