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고혈당 vs 저혈당 관리 및 대처법

고혈당 vs 저혈당: 혈당 수치 이상, 건강 적신호!

고혈당과 저혈당은 혈액 속 포도당, 즉 혈당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혈당은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이며,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마치 자동차의 연료가 너무 많거나 적으면 엔진에 문제가 생기는 것처럼, 혈당 수치의 불균형은 우리 몸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고혈당 (Hyperglycemia) 원인

고혈당은 혈액 중 포도당 농도가 정상 범위 (일반적으로 공복 시 70-100mg/dL, 식후 2시간 후 140mg/dL 미만) 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당뇨병: 인슐린 부족 또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혈당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과식, 운동 부족: 섭취 칼로리가 소비 칼로리보다 많거나, 운동 부족으로 혈당이 효과적으로 소비되지 못할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스트레스, 질병, 감염: 스트레스 호르몬은 혈당을 상승시키고, 질병이나 감염 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혈당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정 약물: 스테로이드 제제, 이뇨제 등 특정 약물은 혈당을 상승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고혈당 증상 (Hyperglycemia Symptoms)

고혈당은 혈액 속에 포도당이 과도하게 많은 상태로, 주로 당뇨병 환자에게서 나타나지만, 스트레스, 감염, 특정 약물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고혈당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초기에는 뚜렷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갈증, 잦은 소변: 몸이 과도한 혈당을 배출하기 위해 수분을 빼앗아 갈증을 느끼고 소변량이 늘어납니다.

    • 피로감, 무기력감: 세포가 포도당을 제대로 에너지로 활용하지 못해 피로감을 느끼기 쉽습니다.

    • 흐릿한 시야: 고혈당은 수정체에 영향을 주어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두통, 메스꺼움: 혈당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면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상처 치유 지연, 감염 취약성 증가: 고혈당은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면역 기능을 저하시켜 상처가 잘 낫지 않고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 초기 증상 (Early Symptoms)

  • 심한 갈증 (Polydipsia): 몸이 수분을 빼앗겨 갈증을 심하게 느낍니다. 아무리 물을 마셔도 갈증이 해소되지 않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잦은 소변 (Polyuria): 과도한 혈당을 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소변량이 급격히 늘어납니다. 특히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됩니다.

  • 피로감, 무기력감 (Fatigue): 세포가 포도당을 제대로 에너지로 사용하지 못해 쉽게 피로하고 기운이 없다고 느낍니다.

  • 흐릿한 시야 (Blurred Vision): 고혈당은 눈의 수정체에 영향을 주어 시력이 흐릿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두통 (Headache): 혈당 수치 변화로 인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피부 건조, 가려움증 (Dry and Itchy Skin): 탈수 증상과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지고 가려울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 (Unexplained Weight Loss): 몸이 포도당 대신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면서 체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주로 제1형 당뇨병에서 흔함)

  • 잦은 감염 (Increased Infections): 고혈당은 면역 기능을 저하시켜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상처가 잘 낫지 않거나 잦은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심각한 증상 및 장기적인 합병증 (Severe & Long-Term Symptoms):

  •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 인슐린 부족으로 지방이 분해되면서 케톤체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혈액이 산성화되는 응급 상황입니다. (주로 제1형 당뇨병)

    • 심한 복통, 구토, 메스꺼움

    • 과일 향기 나는 숨

    • 빠르고 깊은 호흡 (Kussmaul 호흡)

    • 혼란, 의식 저하

    • 심한 탈수

  •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HHS): 극심한 탈수와 고혈당으로 인해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는 응급 상황입니다. (주로 제2형 당뇨병, 노인에게서 흔함)

    • 심한 탈수

    • 혼란, 의식 저하

    • 경련

  • 만성 합병증: 장기간 고혈당이 지속되면 혈관과 신경이 손상되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 당뇨병성 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시력 상실 유발

    • 당뇨병성 신장병증 (Diabetic Nephropathy): 신장 기능 저하, 투석 필요

    • 당뇨병성 신경병증 (Diabetic Neuropathy): 손발 저림, 통증, 감각 저하

    • 심혈관 질환 (Cardiovascular Disease):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 증가

    • 족부 질환 (Diabetic Foot): 발 궤양, 감염, 심하면 발 절단 필요

고혈당 위험성

    • 급성 합병증:

      • 당뇨병성 케톤산증 (DKA): 인슐린 부족으로 지방이 분해되면서 케톤체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혈액이 산성화되는 응급 상황입니다. 심한 탈수, 의식 저하, 혼수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 (HHS): 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하며, 심한 탈수와 고혈당으로 인해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는 응급 상황입니다.

    • 만성 합병증: 장기간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과 신경이 손상되어 다양한 만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 신장병증, 신경병증, 심혈관 질환, 족부 질환 등)

  • 대처 및 관리

    • 혈당 측정: 혈당 측정기로 혈당 수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변화를 기록합니다.

    • 식이요법: 건강한 식단을 통해 혈당 관리를 합니다. (식이섬유 풍부한 채소, 통곡물, 단백질 섭취, 단순당 섭취 제한)

    •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혈당을 낮추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약물 치료: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인슐린 주사 또는 혈당 강하제를 복용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아 스트레스를 관리합니다.

    • 정기 검진: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혈당 및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합니다.

 

※ 저혈당 (Hypoglycemia): 혈당이 너무 낮을 때

  • 정의: 혈액 중 포도당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 (일반적으로 70mg/dL 미만)를 말합니다.

  • 주요 원인:

    • 당뇨병 약물 과다: 인슐린 주사 또는 혈당 강하제 복용량이 너무 많거나, 식사량이 부족하거나 운동량이 과도할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 식사 거르거나 불규칙한 식사: 식사를 제때 하지 않거나, 식사 간격이 너무 길면 혈당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운동: 평소보다 강도 높은 운동을 하거나, 식사량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운동하면 혈당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알코올 섭취: 특히 공복 상태에서 술을 마시면 간에서 포도당 생성이 억제되어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질환: 인슐린 과분비 종양, 간 질환, 신장 질환 등 특정 질환은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저혈당 증상 (Hypoglycemia Symptoms): 혈당이 너무 낮을 때

저혈당은 혈액 속 포도당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로, 주로 당뇨병 치료 (인슐린 주사, 혈당 강하제 복용) 중이거나 식사를 거르거나 불규칙하게 할 때, 과도한 운동 등을 했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저혈당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며, 즉시 대처하지 않으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떨림, 불안, 초조: 몸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아드레날린을 분비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 땀 흘림, 창백함: 혈당 부족으로 인해 자율신경계가 활성화되어 땀이 나고 피부가 창백해질 수 있습니다.

    • 심장 두근거림, 빠른 맥박: 혈당을 올리기 위해 심장이 빠르게 뛰는 증상입니다.

    • 배고픔, 어지러움, 두통: 뇌에 포도당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 집중력 저하, 혼란, 짜증: 뇌 기능 저하로 인해 집중력이 떨어지고 혼란스러워지거나 짜증이 날 수 있습니다.

    • 심한 경우: 경련, 의식 소실, 혼수상태 (뇌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응급 상황)

🚩 초기 증상 (Early Symptoms):

저혈당 초기 증상은 주로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 기능 저하로 나타납니다.

  • 자율신경계 반응 (교감신경계 활성화):

    • 떨림 (Tremors): 손이나 몸이 떨리는 증상

    • 땀 흘림 (Sweating): 식은땀을 흘리는 증상

    • 가슴 두근거림, 심계항진 (Palpitations):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느낌

    • 불안, 초조 (Anxiety): 불안하고 초조한 느낌, 긴장감

    • 배고픔 (Hunger): 심한 공복감, 배가 고픈 느낌

    • 창백함 (Pallor): 얼굴이 창백해지는 증상

  • 신경글루코펜 증상 (Neuroglycopenic Symptoms): 뇌 기능 저하

    • 어지러움, 현기증 (Dizziness): 어지럽고 핑 도는 느낌

    • 두통 (Headache): 뇌에 에너지 공급 부족으로 인한 두통

    • 집중력 저하 (Difficulty Concentrating): 집중하기 어렵고 멍해지는 느낌

    • 혼란, 판단력 저하 (Confusion): 정신이 혼미해지고 판단력이 흐려지는 증상

    • 짜증, 신경질 (Irritability): 쉽게 짜증이 나고 신경질적으로 변하는 증상

    • 말하기 어눌해짐 (Slurred Speech): 발음이 부정확해지고 말이 어눌해지는 증상

    • 시력 변화 (Vision Changes): 눈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겹쳐 보이는 증상

🚩 심각한 증상 (Severe Symptoms):

저혈당이 심해지면 뇌 기능이 더욱 저하되어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응급 상황입니다.

  • 경련 (Seizures): 몸이 뻣뻣해지거나 떨리는 경련 발작

  • 의식 소실 (Loss of Consciousness): 정신을 잃고 쓰러짐, 혼수상태

  • 마비 (Paralysis): 몸의 일부 또는 전체가 마비되는 증상 (일시적)

🚩 야간 저혈당 증상 (Nocturnal Hypoglycemia Symptoms):

밤에 자는 동안 저혈당이 발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악몽, 잠꼬대 (Nightmares): 악몽을 꾸거나 잠꼬대를 심하게 함

  • 식은땀 (Night Sweats): 밤에 자는 동안 식은땀을 많이 흘림

  • 기상 시 두통 (Morning Headache): 아침에 일어났을 때 두통을 느끼는 경우

  • 피로감 (Fatigue): 밤에 충분히 잤는데도 아침에 심하게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

  •  

저혈당 위험성

    • 뇌 기능 저하: 뇌는 포도당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저혈당이 지속되면 뇌 기능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경련, 의식 소실, 혼수상태: 심각한 저혈당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사고 위험 증가: 어지러움, 집중력 저하 등으로 인해 넘어지거나 사고를 당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저혈당 대처 및 관리

    • 혈당 측정: 혈당 측정기로 혈당 수치를 확인하고,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혈당을 측정합니다.

    • 빠른 흡수 탄수화물 섭취: 사탕, 주스, 꿀물, 설탕물, 포도당 정제 등 빠른 흡수 탄수화물을 섭취하여 혈당을 즉시 올립니다. (15-20g 섭취 후 15분 기다렸다가 혈당 재측정, 필요시 반복)

    • 의식 불명 시 응급 처치: 의식이 없을 경우 억지로 음식을 먹이지 말고,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글루카곤 주사 (처방받은 경우)를 투여 후 병원으로 이송합니다.

    • 저혈당 예방: 규칙적인 식사, 균형 잡힌 식단, 운동 전후 적절한 간식 섭취, 당뇨병 약물 복용 시 의사 지시 철저히 따르기, 알코올 섭취 주의 등 저혈당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을 실천합니다.

    • 의료 전문가 상담: 저혈당이 자주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고혈당 vs 저혈당 비교 요약

구분 고혈당 (Hyperglycemia) 저혈당 (Hypoglycemia)
혈당 수치 정상 범위보다 높음 정상 범위보다 낮음
주요 원인 당뇨병, 과식, 운동 부족, 스트레스, 특정 약물 등 당뇨병 약물 과다, 식사 거르기, 과도한 운동, 알코올 섭취 등
주요 증상 갈증, 잦은 소변, 피로감, 흐릿한 시야, 두통, 메스꺼움 등 떨림, 불안, 땀, 심장 두근거림, 배고픔, 어지러움, 혼란 등
위험성 급성 합병증 (DKA, HHS), 만성 합병증 (혈관/신경 손상) 뇌 기능 저하, 경련, 의식 소실, 사고 위험 증가
대처/관리 혈당 측정, 식이요법, 운동, 약물 치료, 스트레스 관리 등 혈당 측정, 빠른 흡수 탄수화물 섭취, 응급 처치, 예방 생활 습관

결론:

고혈당과 저혈당 모두 우리 몸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건강 이상 신호입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혈당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건강한 사람도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혈당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당 수치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글
생강차 효능 및 부작용 · 생강차 만드는 법

예로부터 생강은 건강에 좋기로 소문난 향신료 중 하나입니다. 특히 생강차는 겨울철 대표 차라 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차입니다. 하지만 ...More...

홍초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식초에는 초산 및 구연산, 아미노산 등의 60여 종의 다양한 유기산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서 체내 유익한 여러 효능들이 많이 있다고 알려져 ...More...

토마토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보관방법

토마토는 가지과 속하는 식물 또는 그 열매를 토마토라고 합니다. 남아프라카가 원산지로 16세기 초반 멕시코에서 유럽으로 전해진 것으로 추정합니다. 따뜻한 기온과 많은 ...More...

시금치 효능 및 부작용·고르는 법·시금치 된장국

미네랄, 비타민, 식물성 영양소 등이 함유되어 있는 채소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시금치에는 이런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는 채소입니다. 시금치는 어린이에게는 필요한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