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정의

*링겔만 효과*란 집단의 구성원 수가 늘어날수록 각 개인의 1인당 공헌도(생산성)가 오히려 감소하는 심리적·행동적 현상을 말합니다. 즉, 팀이나 집단에서 일할 때 혼자일 때보다 여러 명이 함께할수록 각자의 노력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실험과 유래

  • 발견자: 1913년 독일의 심리학자 막스 링겔만(Max Ringelmann)이 처음 발견했습니다.
  • 대표 실험: 줄다리기 실험에서, 한 사람이 당길 때의 힘을 100으로 봤을 때, 2명은 93%, 3명은 85%, 8명은 49%의 힘만 발휘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즉, 인원이 늘어날수록 기대치 대비 실제 힘이 점점 떨어졌습니다.

원인

  •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집단 내에서 개인의 책임감이 분산되어 ‘나 하나쯤은 덜 해도 괜찮겠지’라는 심리가 작동합니다. 이로 인해 각자의 노력과 동기가 저하됩니다.
  • 최소화 전략: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얻으려는 인간의 심리도 작용합니다.
  • 책임 분산: 집단이 커질수록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해 책임감이 낮아집니다.

일상과 조직에서의 예시

  • 학교 조별 과제에서 일부 인원이 ‘무임승차’를 하거나, 팀 프로젝트에서 누군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현상
  • 스포츠팀, 회사, 봉사활동 등 다양한 집단 활동에서 인원이 많을수록 개인의 적극성이 줄어드는 현상

극복 방법

  • 책임감 부여: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개인별 성과를 평가·피드백합니다.
  • 소규모 팀 구성: 팀 규모를 적절히 줄여 개인의 책임감을 높입니다.
  • 공정한 보상과 인정: 개인의 기여도에 따라 적절한 보상과 인정을 제공합니다.
  • 목표 구체화: 팀 목표를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게 설정합니다.
  • 신뢰와 존중의 문화: 서로의 의견과 노력을 존중하는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요약

  • *링겔만 효과*는 집단이 커질수록 개인의 공헌도가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 사회적 태만, 책임 분산, 최소화 전략 등이 원인입니다.
  • 책임감 부여, 소규모 팀, 공정한 보상 등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조직, 학교, 사회 등 다양한 집단에서 흔히 발생하므로, 이를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집단의 생산성과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 - 관련 글 - -
식용유 종류와 발연점

발연점이 지나는 시점부터는 타기 시작하여 벨조필렌이란 발암물질이 생성된다. 식용유의 발연점을 제대로 알고 조리법에 맞는 식용유를 선택하는게 좋다. 1. 콩기름(대두유) 발연점 210℃~220℃ 구이, ...More...

한국인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

1. 병이 나았다 (O)  /  병이 낳았다 (X) 의외로많은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 가운데 하나인 ‘낳았다/나았다’. 아픈 곳이 회복되었다는 표현으로 사용할 때에는 ‘병이 ...More...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되는 팁 ·방법

머리카락이 너무 많이 빠져서 고민인가? 빗을 빗고 나면 머리카락이 수두룩하게 떨어져 있는가? 이런 경우라면 바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탈모 예방에 ...More...

피곤한 발 관리하는 방법

우리 인체에서 가장 홀대받는 부위가 발입니다. 피곤한 발을 관리하는 것은 일상적인 건강 관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요즘 많이 늘어나고 있는 발 ...Mor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